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의 전체 스택 데이터 흐름 철학
Lukas Schneider
DevOps Engineer · Leapcell

소개
현대 웹 개발 환경은 점점 더 정교해지는 사용자 경험을 특징으로 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효율적이고 통합된 데이터 관리가 요구됩니다. 전체 스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개발자에게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두 가지 주요 프레임워크인 Remix와 Next.js는 이러한 과제에 대해 강력하지만 별개의 철학적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바로 Remix의 로더(Loaders)와 Next.js의 서버 액션(Server Actions)입니다.
두 가지 모두 클라이언트 측 컴포넌트와 서버 측 로직 간의 상호 작용을 간소화하여 개발자 경험과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전체 스택 데이터 흐름 철학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시작하여, 핵심 메커니즘, 구현 패턴 및 실제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개발자가 아키텍처 선택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핵심 개념 설명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논의의 기초가 되는 핵심 개념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확립해 보겠습니다.
- 전체 스택 데이터 흐름: 데이터의 전체 여정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의 출처(예: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입력)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계층(예: 클라이언트 측 상태, API 호출, 데이터베이스 상호 작용)을 거쳐 표시 또는 추가 처리를 위해 클라이언트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목표는 이 흐름을 비즈니스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 서버 측 렌더링 (SSR): 서버가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하여 페이지의 초기 HTML을 렌더링한 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체감 성능과 SEO를 향상시킵니다.
 - 클라이언트 측 하이드레이션: 클라이언트 측 자바스크립트가 서버 렌더링된 HTML을 '인계받아' 이벤트 리스너를 연결하고 페이지를 인터랙티브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 동형/유니버설 자바스크립트: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입니다. 이는 종종 로직과 데이터 구조를 공유하여 개발을 단순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변경 사항 (Mutations): 서버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작업(예: 새 레코드 생성, 기존 레코드 업데이트, 데이터 삭제).
 - 재검증 (Revalidation): 변경 사항 발생 후 클라이언트 측 뷰가 최신 서버 상태를 반영하도록 신선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입니다.
 
Remix 로더: 요청 수명 주기로서의 데이터
Remix는 브라우저의 네이티브 요청-응답 주기를 밀접하게 반영하는 데이터 흐름 철학을 채택합니다. 핵심에는 라우트에 연결된 서버 측 함수인 **로더(Loaders)**가 있으며, 컴포넌트가 렌더링되기 전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모델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며 데이터에 대한 특정 사고방식을 요구합니다.
원칙 및 구현
Remix에서 loader 함수는 라우트 파일 내에 정의된 비동기 서버 측 함수입니다. 사용자가 라우트로 이동하면 Remix는 먼저 서버에서 해당 loader 함수를 호출합니다. 이 함수는 데이터베이스, 외부 API와 상호 작용하고, 네트워크 쿠키를 읽고, 데이터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버 측 로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oader가 반환하는 데이터는 직렬화되어 라우트 컴포넌트의 prop으로 전달됩니다.
간단한 블로그 게시물 페이지를 생각해 봅시다. 게시물을 표시하려면 해당 세부 정보와 댓글을 가져와야 합니다.
// app/routes/posts.$postId.jsx import { json } from "@remix-run/node"; // 또는 "@remix-run/cloudflare" export async function loader({ params }) { const postId = params.postId; // 실제 앱에서는 데이터베이스나 API에서 가져옵니다. const post = await Promise.resolve({ id: postId, title: `Post ${postId}`, content: `This is the content for post ${postId}.`, author: `Author ${postId}`, }); if (!post) { throw new Response("Not Found", { status: 404 }); } return json({ post }); } export default function PostDetail() { const { post } = useLoaderData(); // 로더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 정의 훅 return ( <div> <h1>{post.title}</h1> <p>By: {post.author}</p> <p>{post.content}</p> </div> ); }
useLoaderData 훅을 사용하면 추가적인 클라이언트 측 가져오기 없이 컴포넌트 내에서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초기 렌더링이 항상 데이터로 완전히 채워지도록 보장하여 체감 로드 시간과 SEO를 향상시킵니다.
액션을 통한 변경 사항 및 재검증
변경 사항(예: 양식 제출, 게시물 삭제)의 경우 Remix는 **액션(Actions)**을 사용합니다. 로더와 마찬가지로 액션은 라우트에 연결된 서버 측 함수입니다.
POST 메서드를 가진 액션이 있는 라우트로 양식이 제출되면 Remix는 서버에서 action 함수를 호출합니다.
// app/routes/posts.$postId.jsx (계속) import { json, redirect } from "@remix-run/node"; // ... (위와 동일한 로더 및 컴포넌트) export async function action({ request, params }) { const formData = await request.formData(); const title = formData.get("title"); const content = formData.get("content"); const postId = params.postId; // 실제 앱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합니다. console.log(`Updating post ${postId} with title: ${title}, content: ${content}`); await Promise.resolve(); //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시뮬레이션 // Remix는 자동으로 로더를 변경 시 재검증합니다. return redirect(`/posts/${postId}`); } export function PostEditForm() { const { post } = useLoaderData(); return ( <Form method="post"> <input type="text" name="title" defaultValue={post.title} /> <textarea name="content" defaultValue={post.content}></textarea> <button type="submit">Save Changes</button> </Form> ); }
action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Remix는 자동으로 페이지의 활성 로더를 재검증하여 UI가 업데이트된 상태를 명시적인 클라이언트 측 가져오기 로직 없이 반영하도록 보장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로더) 및 데이터 변경(액션) 로직을 동일한 라우트 파일에 함께 배치하는 것은 개발을 단순화하고 전체 스택 상호 작용을 처리하는 강력하고 브라우저 네이티브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적용 시나리오
Remix의 로더 중심 철학은 다음에서 뛰어납니다.
- 콘텐츠 중심 사이트: 블로그, 전자 상거래 제품 페이지, 초기 로드 속도 및 SEO가 중요한 문서.
 - 복잡한 양식 제출: 
action메커니즘은 서버 측 유효성 검사 및 데이터 업데이트를 처리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며, 자동 재검증 기능이 포함됩니다. - 탄력성 우선 애플리케이션: 네이티브 브라우저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Remix 애플리케이션은 자바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종종 우아하게 저하됩니다.
 
Next.js 서버 액션: 점진적인 서버 상호 작용
Next.js는 SSR 및 SSG를 지원하지만, 특히 App Router에 **서버 액션(Server Actions)**을 도입하면서 전체 스택 데이터 흐름에 대한 강조점을 진화시켰습니다. 전통적으로 Next.js는 useEffect 또는 전용 데이터 가져오기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클라이언트 측 가져오기에 크게 의존했지만, 서버 액션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직접 서버 측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합니다.
원칙 및 구현
서버 액션은 서버에서만 실행되지만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또는 서버 컴포넌트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비동기 함수입니다. 파일 맨 위 또는 개별 함수 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