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D 원칙으로 견고한 파이썬 API 구축하기
Takashi Yamamoto
Infrastructure Engineer · Leapcell

SOLID 원칙을 통한 더 나은 파이썬 API 구축
웹 개발의 역동적인 환경에서 견고하고 유지보수 가능하며 확장 가능한 API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민첩하고 빠른 개발은 종종 얽히고설킨 코드베이스, 추적하기 어려운 버그, 느린 기능 통합 속도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문제는 바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시대를 초월한 지혜, 즉 SOLID 원칙으로 요약되는 것이 길잡이가 될 수 있습니다. Flask로 간단한 마이크로 서비스를 만들든 FastAPI로 고성능 API를 만들든, 이러한 원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면 개발 프로세스를 복잡성에 대한 투쟁에서 우아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으로의 여정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OLID 원칙을 활용하여 Flask 및 FastAPI 프로젝트를 리팩터링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더 깨끗한 코드, 더 쉬운 협업, 더 탄력적인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SOLID 원칙 이해하기
실용적인 적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리팩터링 전략의 기반이 되는 SOLID의 핵심 교리를 간략하게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SRP): 클래스 또는 모듈은 변경될 이유가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 즉, 단 하나의 주요 책임을 가져야 합니다.
-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OCP): 소프트웨어 엔티티(클래스, 모듈, 함수 등)는 확장에 대해 열려 있어야 하지만 수정에 대해서는 닫혀 있어야 합니다. 기존의 작동하는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새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LSP): 슈퍼클래스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서브클래스의 객체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합니다. 더 간단히 말해, 프로그램이 기본 클래스 객체를 기대한다면 파생 클래스 객체에 대해서도 똑같이 잘 작동해야 합니다.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ISP): 클라이언트는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됩니다. 이는 단일하고 크고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보다는 작고 클라이언트별 인터페이스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지지합니다.
- 의존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DIP): 상위 수준 모듈은 하위 수준 모듈에 종속되어서는 안 됩니다. 둘 다 추상화에 의존해야 합니다. 추상화는 세부 사항에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세부 사항은 추상화에 의존해야 합니다. 이는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를 도입하여 디커플링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의식적으로 적용하면 이해, 유지보수, 테스트 및 확장이 쉬운 코드베이스에 크게 기여합니다.
목적을 가지고 리팩터링하기: SOLID를 Flask/FastAPI에 적용
실용적인 파이썬 예제를 통해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Flask 및 FastAPI 프로젝트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시나리오로 시작하여 단계별로 리팩터링할 것입니다.
사용자 등록을 처리하는 간단한 Flask/FastAPI 엔드포인트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습니다.
# 초기 강하게 결합된 접근 방식 (나쁜 예)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 FastAPI의 경우: from fastapi import FastAPI, Request, HTTPException app = Flask(__name__) # 또는 app = FastAPI() @app.route('/register', methods=['POST']) # FastAPI의 경우: @app.post('/register') async def register_user(): data = request.get_json() # FastAPI의 경우 await request.json() username = data.get('username') email = data.get('email') password = data.get('password') if not username or not email or not password: return json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