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웹 서버 성능을 위한 이벤트 루프 동력학 이해
Wenhao Wang
Dev Intern · Leapcell

서론: Node.js 성능의 보이지 않는 엔진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웹 서버의 성능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사용자들은 즉각적인 응답과 끊김 없는 경험을 기대하므로, 서버 처리량과 지연 시간은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의 중요 측정 지표가 됩니다. Node.js는 비동기, 비차단 I/O 모델을 통해 고성능 웹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인기 있는 선택지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성능의 핵심에는 Node.js 이벤트 루프가 있습니다. 이는 서버가 요청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종종 오해받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벤트 루프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학문적 연습이 아니라,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최적화하고, 성능 병목 현상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더 강력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식을 제공합니다. 이 탐구는 이벤트 루프를 명확히 설명하고 웹 서버 처리량 및 지연 시간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을 보여줄 것입니다.
이벤트 루프의 영향 분해
이벤트 루프가 서버 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그 기본 구성 요소와 작동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핵심 용어
- 이벤트 루프: 이벤트 큐에서 새로운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해당 콜백을 실행하는 핵심 프로세스입니다.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Node.js의 메커니즘입니다.
- 비차단 I/O: 프로그램 실행을 중단시키지 않는 I/O 작업(파일 읽기 또는 네트워크 요청 등)을 설계하는 원칙입니다. 대신, 이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작업 완료 시 콜백 함수가 실행됩니다.
- 처리량: 단위 시간당 서버가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의 수입니다. 높은 처리량은 일반적으로 서버가 더 많은 동시 사용자 또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지연 시간: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는 사이의 지연입니다. 낮은 지연 시간은 반응성이 좋은 사용자 경험에 매우 중요합니다.
- 콜 스택: JavaScript가 여러 함수를 호출하는 스크립트에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입니다.
- 콜백 큐 (태스크 큐/메시지 큐): 비동기 작업(예:
setTimeout
,setInterval
, 네트워크 요청)이 완료되면 Node.js 런타임에 의해 완료된 후 해당 콜백 함수가 배치되는 큐입니다. - 마이크로태스크 큐: 프로미스의
then()
및catch()
콜백,process.nextTick()
,queueMicrotask()
를 보유하는 더 높은 우선순위의 큐입니다. 이러한 마이크로태스크는 콜백 큐에서 태스크를 처리할 다음 이벤트 루프 틱보다 먼저 처리됩니다. - 워커 풀 (또는 스레드 풀): Node.js가 메인 이벤트 루프를 차단하지 않고 계산 집약적이거나 차단 I/O 작업(예: 파일 시스템 작업, DNS 조회 또는 암호화 함수)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C++ 워커 스레드 풀(일반적으로 libuv 제공)입니다.
작동 중인 이벤트 루프: 주기적인 춤
Node.js 이벤트 루프는 JavaScript가 자체적으로 단일 스레드임에도 불구하고 비동기 I/O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모델입니다. 다음은 그 단계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 스크립트 실행으로 시작: Node.js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메인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모든 동기 코드는 콜 스택에서 직접 실행됩니다.
- 비동기 작업 발견: 비동기 작업(예:
fs.readFile
,http.get
,setTimeout
)을 만나면, 메인 스레드는 나머지 동기 코드를 계속 실행하는 동안 Node.js 런타임(종종 libuv에 의해 관리됨)으로 오프로드됩니다. - 완료 및 콜백: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콜백 함수는 적절한 큐(예:
setTimeout
의 경우 콜백 큐, 프로미스의 경우 마이크로태스크 큐)에 배치됩니다. - 루프 자체: 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이 비어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비어 있으면 먼저 마이크로태스크 큐에서 태스크를 가져와 마이크로태스크 큐가 비어 있을 때까지 처리한 다음, 콜백 큐 및 특정 순서(타이머, 보류 중인 콜백, 유휴/준비, 폴링, 체크, 종료 콜백)의 다른 I/O 큐에서 태스크를 가져옵니다.
처리량에 미치는 영향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는 높은 처리량에 직관적이지 않게 보일 수 있지만, 비차단성이 핵심입니다. I/O 작업을 오프로드함으로써 메인 스레드는 다른 요청이나 현재 요청의 다른 부분을 처리하는 데 자유롭습니다.
간단한 웹 서버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if (req.url ===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Hello, World!'); } else if (req.url === '/file') { // 비동기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면 차단 작업이 될 수 있음 fs.readFile('large-file.txt', (err, data) => { if (err) {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Error reading file'); return;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data); }); } else if (req.url === '/block') { // CPU 집약적인 동기 작업 시뮬레이션 const start = Date.now(); while (Date.now() - start < 5000) { // 5초 동안 차단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Blocked for 5 seconds!'); } else { res.writeHead(404,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Not Found'); } }); server.listen(3000, () => { console.log('Server listening on port 3000'); });
클라이언트가 /block
을 요청하면 이벤트 루프 전체가 5초 동안 중단됩니다. 이 시간 동안 /
또는 /file
과 같은 다른 요청도 처리할 수 없습니다. 이벤트 루프가 차단되면 서버는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처리량이 크게 감소합니다.
하지만 /file
경로의 경우, fs.readFile
은 비동기입니다. 파일이 읽히는 동안(특히 대용량 파일이나 느린 디스크의 경우 시간이 걸릴 수 있음), 이벤트 루프는 다른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는 데 자유롭습니다. fs.readFile
이 완료되면 해당 콜백이 이벤트 큐에 배치되고 이벤트 루프가 자유로울 때 실행되어 I/O 바운드 작업의 높은 처리량을 보장합니다.
지연 시간에 미치는 영향
지연 시간은 요청의 콜백이 이벤트 루프에 의해 얼마나 빨리 선택되고 실행되는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 차단 작업: 이벤트 루프가 CPU 집약적인 동기 작업(예:
/block
예제)에 의해 차단되면, 차단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모든 요청이 높은 지연 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 비동기 I/O: I/O 바운드 작업의 경우, 이벤트 루프가 작업을 스레드 풀로 오프로드하고 다른 작업을 계속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은 개별 I/O 작업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전반적인 서버 지연 시간이 낮게 유지됨을 의미합니다. 개별 I/O 바운드 요청의 지연 시간은 I/O 작업의 기간과 콜백 큐에서 대기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됩니다.
- 마이크로태스크 우선순위:
process.nextTick()
과 프로미스의 콜백은 콜백 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마이크로태스크 큐에서 처리됩니다. 이는 더 빠르게 실행됨을 의미하며, 빠르게 해결되거나 즉각적인 처리가 필요한 작업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태스크 우선순위 시연 예제 console.log('Synchronous 1'); Promise.resolve().then(() => { console.log('Promise resolved (Microtask)'); }); process.nextTick(() => { console.log('Next Tick (Microtask)'); }); setTimeout(() => { console.log('Set Timeout (Task Queue)'); }, 0); console.log('Synchronous 2');
출력:
Synchronous 1
Synchronous 2
Next Tick (Microtask)
Promise resolved (Microtask)
Set Timeout (Task Queue)
이는 마이크로태스크가 우선순위를 갖으며, 동기 코드 직후 즉각적인 실행이 필요한 특정 시나리오에서 지연 시간을 줄이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벤트 루프 최적화
Node.js에서 처리량과 지연 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한 황금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벤트 루프를 절대 차단하지 마십시오.
- 비동기 I/O: 항상 비동기 파일 시스템 작업, 데이터베이스 쿼리 및 네트워크 요청을 선호하십시오.
- 워커 스레드: 진정한 CPU 바운드 작업(예: 복잡한 계산, 이미지 처리)의 경우, 메인 이벤트 루프 스레드에서 수행하는 대신 Node.js 워커 스레드로 오프로드하십시오. 이렇게 하면 메인 스레드는 다른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는 데 자유롭고, 따라서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 시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CPU 바운드 작업을 위한 워커 스레드 사용 예제 const { Worker } = require('worker_threads'); // ... (http 서버 요청 핸들러 내부) if (req.url === '/cpu-intensive') { const worker = new Worker('./worker.js'); // worker.js에 차단 로직 포함 worker.on('message', (result)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result); }); worker.on('error', (err) => { res.writeHead(500, { 'Content-Type': 'text/plain' }); res.end('Worker error'); }); worker.postMessage('start calculation'); } // ...
그리고 worker.js
:
const { parentPort } = require('worker_threads'); parentPort.on('message', (msg) => { if (msg === 'start calculation') { const start = Date.now(); while (Date.now() - start < 5000) { // 무거운 계산 시뮬레이션 } parentPort.postMessage('Heavy calculation done in Worker Thread!'); } });
이 설정을 통해 /cpu-intensive
요청은 새 워커 스레드를 시작하여 메인 이벤트 루프를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 긴 동기 루프 피하기:
setImmediate
또는process.nextTick
을 사용하여 이벤트 루프에 양보할 수 있는 더 작은 조각으로 긴 동기 계산을 분할하십시오.
결론: 확장 가능한 Node.js 백본
Node.js 이벤트 루프는 단순한 내부 메커니즘이 아니라, 고성능, 확장 가능한 웹 서버가 구축되는 기반입니다. 비차단 특성을 받아들이고 메인 스레드를 차단하는 작업을 신중하게 피함으로써, 개발자는 최적의 처리량과 최소한의 지연 시간을 보장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우수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잘 이해하고 존중하는 이벤트 루프는 Node.js 애플리케이션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비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