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wright와 Puppeteer 내부: 아키텍처에서 실제 시나리오까지
Ethan Miller
Product Engineer · Leapcell

심층 기술 비교: Playwright vs. Puppeteer - 기본 사항부터 사용 사례까지
브라우저 자동화 분야에서 Playwright(Microsoft)와 Puppeteer(Google)는 가장 주류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설계 철학, 기술 구현 및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핵심 개념부터 시작하여 자세한 비교, 시나리오 분석 및 제한 사항 분석을 통해 이러한 두 도구의 기술적 특성과 미래 방향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I. 핵심 개념 및 근본적인 차이점
두 도구 모두 브라우저 DevTool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동화를 구현하지만, 기본 설계 논리는 완전히 다릅니다. 이는 곧 기능 경계를 정의하는 차이점입니다.
1. 기원 및 포지셔닝
차원 | Playwright | Puppeteer |
---|---|---|
개발자 | Microsoft (2020년 출시) | Google Chrome 팀 (2017년 출시) |
핵심 포지셔닝 | 크로스 브라우저 자동화 테스트 도구 | Chromium 생태계를 위한 전용 자동화 도구 |
기본 프로토콜 종속성 | 사용자 정의 명령이 추가된 DevTools 프로토콜 확장 | 표준 DevTools 프로토콜을 엄격히 준수 |
다국어 지원 | Node.js/Python/Java/C# 공식 지원 | Node.js에 대한 핵심 지원 제한 (커뮤니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공식 Python 버전) |
2. 주요 기술 세부 사항 비교
(1) 브라우저 지원 깊이
이는 두 도구 간의 가장 핵심적인 차이점을 나타내며 크로스 브라우저 호환성 시나리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Playwright: 모든 주요 브라우저(Chrome/Firefox/WebKit)에 대한 심층적인 사용자 정의를 통해 "네이티브 적응" 전략을 채택합니다.
- Chrome: 모든 DevTools 프로토콜 기능을 지원하는 Chromium 브랜치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Firefox: Firefox Remote Debugging Protocol 및 사용자 정의 적응 레이어를 통해 98% 이상의 API 정렬을 달성합니다.
- WebKit: webkit-devtools-protocol을 통한 변환에 의존하는 대신 WebKit 커널 디버깅 인터페이스와 직접 통합하여 Safari 자동화의 "가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합니다(예: Safari의 개인 정보 보호 브라우징 모드 지원).
-
Puppeteer: "Chromium 우선" 전략을 사용합니다.
- Chrome/Chromium: Chromium 전용 기능(예: Chrome 확장 프로그램 개발 및 디버깅)을 호출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 Firefox/Safari: 기본 기능(예: 페이지 탐색, 스크린샷)은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구현되지만 고급 기능(예: 네트워크 가로채기, DOM 이벤트 시뮬레이션)은 수많은 호환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습니다(예:
page.waitForRequest
는 Firefox에서 자주 실패합니다).
(2) 컨텍스트 관리 메커니즘
브라우저 컨텍스트(격리된 브라우징 환경)는 자동화 효율성에 매우 중요합니다.
- Playwright:
browser.new_context()
는 "무제한 컨텍스트 생성"을 지원합니다. 각 컨텍스트는 단일 브라우저 프로세스를 공유하면서 독립적인 쿠키와 LocalStorage를 가집니다. 10개의 컨텍스트를 시작하면 약 800MB의 메모리만 소비됩니다. - Puppeteer: 이전 버전에서는
browser.createIncognitoBrowserContext()
를 통해 컨텍스트를 생성해야 했으며 각 컨텍스트에는 기본적으로 새 프로세스가 할당되었습니다. 10개의 컨텍스트를 시작하면 1.5GB 이상의 메모리가 소비됩니다. 프로세스 재사용은 버전 19까지 최적화되지 않았으며 수동 구성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3) 대기 메커니즘 설계
자동화 안정성의 핵심은 "요소가 준비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 Playwright: "자동 대기"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모든 작업(예:
click()
,fill()
)은 요소가 대화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으로 기다립니다(예: DOM 렌더링 완료, CSS 로딩 완료).waitForSelector
를 수동으로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 Puppeteer: 대기 API(
page.waitForSelector('#btn', {visible: true})
등)를 명시적으로 호출해야 합니다. 이러한 호출을 생략하면 "요소가 존재하지만 클릭할 수 없는"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는 종종puppeteer-autoclicker
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이 격차를 보완합니다.
II.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및 실제 선택
두 도구 간의 기술적 차이는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의 구분을 직접적으로 결정합니다. "절대적인 우위"는 없으며 "시나리오 일치 정도"만 있을 뿐입니다.
1. Playwright의 핵심 시나리오
- 크로스 브라우저 호환성 테스트: 전자 상거래 플랫폼은 Chrome, Firefox 및 Safari에서 제품 상세 페이지의 UI 일관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Playwright는 단일 스크립트 세트로 여러 브라우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코드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크로스 플랫폼 자동화: 엔터프라이즈 내부 시스템은 종종 Windows(Edge), macOS(Safari) 및 Linux(Chrome)를 지원해야 합니다. Playwright의
playwright install-deps
는 해당 시스템에 대한 브라우저 종속성을 자동으로 설치하여 환경 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상호 작용 시뮬레이션: 금융 상품의 양식 제출(captcha 확인 및 팝업 확인 포함)의 경우 Playwright의
frame.locator()
는 컨텍스트 전환 없이 iframe 내에서 요소를 직접 찾을 수 있습니다. 반면 Puppeteer는page.frame()
을 통해 수동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2. Puppeteer의 핵심 시나리오
- Chromium 생태계와의 심층적인 통합: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확장 프로그램 백그라운드 페이지 및 콘텐츠 스크립트의 디버깅이 필요합니다. Puppeteer의
--load-extension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로컬 확장 프로그램을 직접 로드할 수 있는 반면 Playwright는 확장 프로그램 ID를 추가로 구성해야 합니다. - 가벼운 데이터 크롤링: 뉴스 헤드라인을 스크래핑하기 위해 Puppeteer의
page.evaluate()
구문이 더 간결하고 커뮤니티는 분산 크롤링을 지원하기 위해puppeteer-cluster
와 같은 안정적인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자동화: 일렉트론을 기반으로 개발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예: VS Code)은 Puppeteer를 통해 일렉트론의 디버깅 포트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반면 Playwright는 일렉트론 실행 파일 경로를 수동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III. 기술적 제한 사항 분석
1. Playwright의 단점
- WebKit 호환성 격차: WebKit이 지원되지만 특정 Safari 전용 기능(예:
webkit-overflow-scrolling
스크롤 시뮬레이션)은 여전히 지원되지 않으며page.evaluate()
스크립트를 통해 수동으로 보완해야 합니다. - 불충분한 생태계 성숙도: Puppeteer의 7년 역사에 비해 Playwright는 커뮤니티 플러그인(예: 안정적인 시각적 기록 도구 부족)이 적습니다. 공식 Playwright Test는 사용할 수 있지만 Jest 및 Cypress와의 통합에는 여전히 추가 구성이 필요합니다.
2. Puppeteer의 단점
- 약한 다중 브라우저 지원:
page.emulateMedia()
는 Firefox에서 인쇄 모드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할 수 없으며page.screenshot()
은 Safari에서 보이는 영역(전체 페이지 아님)만 캡처할 수 있습니다. - 높은 메모리 소비: 최적화된 프로세스 재사용을 사용하더라도 20개의 컨텍스트를 시작하면 Playwright보다 40% 더 많은 메모리를 소비하여 CI/CD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제한을 쉽게 트리거합니다.
IV. 미래 개발 방향 예측
1. Playwright: "전체 시나리오 커버리지" 강화
- 모바일 브라우저 지원: Microsoft는 이미 Playwright v1.38에서 Android Chrome 자동화를 테스트했습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는 iOS Safari의 실제 장치 디버깅에 대한 지원을 추가하여 모바일 브라우저 자동화의 격차를 메울 수 있습니다.
- AI 통합: UI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테스트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동화 장벽을 낮추기 위해 GPT-4 기능을 Playwright Test에 통합할 계획입니다.
- 성능 최적화: WebKit 커널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다중 컨텍스트 메모리 소비를 2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Puppeteer: "Chromium 생태계 통합 심화"에 집중
- 헤드리스 모드 업그레이드: Chrome 112+'의 "헤드리스 새" 모드를 완벽하게 지원하여 실행 속도가 30% 더 빠르고 메모리 소비가 15% 더 낮습니다.
- 향상된 DevTools 연결: 자동화 스크립트와 Chrome DevTools 간의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디버깅 중에 DevTools에서 스크립트 매개변수를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 Edge 시나리오 최적화: Chrome OS 및 Chrome for Android에 대한 자동화 지원을 강화하여 Chromium 생태계에서 장점을 강화합니다.
V. 결론: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 크로스 브라우저 및 크로스 플랫폼 자동화가 필요한 경우(예: 엔터프라이즈 수준 테스트) Playwright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십시오. 기본 호환성 및 지능형 대기 기능으로 유지 관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작업이 Chromium 생태계(예: Chrome 확장 프로그램,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 Puppeteer를 선택하십시오. 심층적인 통합 및 안정적인 커뮤니티는 개발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 단기 프로젝트(예: 가벼운 크롤링)의 경우 팀의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선택하십시오. Node.js 팀은 Puppeteer를 선택하고 다국어 팀(예: Python/Java)은 Playwright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브라우저 공급업체가 자동화 프로토콜을 계속 최적화함에 따라 두 도구 간의 기능 경계가 더욱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핵심 포지셔닝의 차이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입니다.
Leapcell: 최고의 서버리스 웹 호스팅
마지막으로 Node.js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한 최적의 플랫폼인 **Leapcell**을 추천합니다.
🚀 좋아하는 언어로 빌드하세요
JavaScript, Python, Go 또는 Rust로 간편하게 개발하세요.
🌍 무제한 프로젝트를 무료로 배포하세요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세요. 요청도 없고 요금도 없습니다.
⚡ 사용한 만큼 지불하고 숨겨진 비용은 없습니다
유휴 요금이 없으며 원활한 확장성만 있습니다.
🔹 Twitter에서 팔로우하세요: @LeapcellHQ